본문 바로가기

한글2

헷갈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쉽게 이해하기(로서/로써) '~로서'와 '~로써'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이지만 헷갈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중에 하나인 것을 넘어서서 이해하고 있다고 해도 자주 틀리는 조사입니다. 오늘은 '~로서'와 '~로써'의 정확한 의미와 어떤 문장에서 쓰이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전적 의미(국립국어원) 「~로서」 1.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내는 격 조사 2. 어떤 동작이 시작되는 것을 나타내는 격 조사 「~로써」 1. 어떤 물건의 재료나 원료를 나타내는 격 조사 2. 어떤 일의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내는 격 조사 3. 시간을 셈할 때 셈에 넣는 한계를 나타내거나 어떤 일의 기준이 되는 시간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 구별하는 방법 1. '~로서'는 지위/위치/자격, '~로써'는 도구/방법/수단. 즉, '~로서'는.. 2021. 8. 20.
헷갈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이해하기(되다/돼다) "소방관이 되다?", "소방관이 돼다?"처럼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지만 헷갈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되다', '돼다'의 정확한 의미와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맞춤법인지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전적 의미(국립국어원) 「되다」 발음: [되다/뒈다] 1. 새로운 신분이나 지위를 가지다. 예) 국회의원이 되다. 반장이 되다. 2. 다른 것으로 바뀌거나 변하다. 예) 녹초가 되다. 무효가 되다. 3. 어떤 때나 시기, 상태에 이르다. 예) 봄이 되다. 오후가 되다.21. 어떤 일이 가능하거나 허락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말. 예) 먹어도 되다. 자도 되다. 22. 누구에게 어떤 일을 당하다. 예) 당선이 되다. 수리가 되다. 23. 어떤 특별한 뜻을 가지는 상태에 놓이다. 예) 근거.. 2021. 6. 23.